전체 글 18

천하지성(天下至誠)

[다음으로 힘써야 할 것은 치고의 문제이다. 그것은 소소한 사물에 이르기까지 모두 지극하게 정성을 다한다는 것이다. 그리하면 소소한 사물마다 모두 성이 있게 된다. 성이 있게 되면 그 사물의 내면의 바른 이치가 구체적으로 형상화된다. 형상화되면 그것은 외부적으로 드러나게 된다. 드러나게 되면 밝아진다. 밝아지면 움직인다. 움직이면 변한다. 변하면 화한다. 오직 천하의 지성이래야 능히 화할 수 있다.] 이 단의 논의도 관계된 고전의 출전을 인용하자면 끝이 없다. 그러나 그것은 대체로 자사 이후에 형성된 논의들이다. 따라서 자사의 언어는 자사 나름대로의 문맥 속에서 소박하게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먼저 기차라는 말이 문제 되는데 주희는 앞서 말한 대로 논의를 모두 천도와 인도라는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이해했..

카테고리 없음 2025.07.05

진기성, 자명성위지성

[오직 천하의 지극한 성이라야 자기의 타고난 성을 온전히 발현할 수 있다. 자기가 타고난 성을 온전히 발현할 수 있게 되어야 타인의 성을 온전히 발현케 할 수가 있다. 타인의 성을 온전히 발현케 할 수 있어야 모든 사물의 성을 온전히 발현케 할 수 있다. 모든 사물의 성을 온전히 발현케 할 수 있어야 천지의 화육을 도울 수 있다. 천지의 화육을 도울 수 있어야 비로소 천과 지와 더불어 온전한 일체가 되는 것이다.] 이것도 역시 자사의 언어에 즉해서 있는 그대로 이해하는 것이 옳다. 첫 줄의 "진기성"의 "성"은 물론 "자명성위지성"의 "성"을 받은 것이다. "천하"라는 말은 항상 현실적인 인간을 지시하는 말이지만, 여기서는 "지성"의 "지극함"을 또다시 극단적으로 강조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우리가 인..

카테고리 없음 2025.07.04

誠(성)에서부터 明(명)으로 구현

[성에서부터 명으로 구현되어 나아가는 것을 성이라 일컫고, 명에서부터 성으로 구현되어 나아가는 것을 교라고 일컫는다. 성하면 명해지고, 명하면 곧 성해진다.] 중용이 성론에 관해서는 우리의 심오한 사유를 요구할 뿐, 번쇄한 출전과의 관련을 요구하지 않는다. 성론이란 오로지 지사라는 사상가의 독창적 발상에서 비롯된 것이므로, 관련된 출전은 대부분 그의 영향하에서 생겨난 것이다. 따라서 그 영향하에서 생겨난 문헌을 가지고 자사를 이해하게 되면 자사의 상상을 축소시키고 범주화시키고 형해화시킬 뿐, 그의 웅혼한 사유를 총체적으로 드러내지 못한다. 사실 자사가 "성"을 집중적으로 논의한 것은 중용 전체에서도 일부분이다. 우리는 고도의 상상력과 치열한 논리를 가지고 접근해 들어가야 한다. 그러나 그것은 누구 한 사..

카테고리 없음 2025.0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