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0

공자 왈 배우기를 좋아하는 것

[공자께서 또 다시 말씀하시었다. "배우기를 좋아하는 것은 지에 가깝고, 힘써 행하는 것은 인에 가깝고, 부끄러움을 아는 것은 용에 가깝습니다.] 가어의 원문에는 애공이 다음과 강튼 말을 하다. "아 선생님의 말씀은 참으로 아름답고 지극하십니다. 과인이 실로 선생님께서 말씀하신 바를 이루어내기에는 원래 부족한 인간일 듯 싶습니다. " 그러자 공자는 그 애공의 말을 받아 다시 지, 인, 용이라는 주제를 끄집어내면서 이야기를 다시 시작하는 것이다. 자사는 이 대화에서 여기뿐만 아니라 딴 곳에도 들어있는 애공의 리액션 부분을 다 삭제해버렸다. 불필요한 췌설이라고 생각한 것이다. 주희는 애공의 리액션을 삭제해서 그냥 공자의 말을 연결시키 마당에는, "자왈"이라는 도입어는 연문이라고 간주하고 그것은 삭제되어야 한..

카테고리 없음 2025.06.27

주희장구

사람의 임금 된 자는 인을 구현해야 하며, 사람의 신하 된 자는 경을 구현해야 하며, 사람의 아들 된 자는 효를 구현해야 하며, 사람의 아비 된 자를 구현해야 하며, 국인들과 교제할 때에는 신을 구현해야 한다. 이 대학의 표현도 중용의 달도와는 다르다. 여기 "천하지달도오, 소이행지자삼"이라는 표현에 있어서 오달도와 삼달덕의 관계를 "길"과 "감"이라는 글자로 나타낸 것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감"이라고 길을 가는 것이다. 즉 그 도를 실천하는 것이다. "소이행지자"이므로 그것은 "그 도를 실천하게 하는 것"이다. 그것은 인간의 내면적 덕성이다. 이 세 달덕, 즉 인간에게 구유 된 보편적 덕성이야말로 다섯 달도의 관계를 실현케 해주는 덕목이다. 그러니까 맹자가 친, 의, 별, 서, 신이라 하여 다섯 인..

카테고리 없음 2025.06.26

수신과 사친과 지인과 지천

군자는 자기 몸을 닦지 않을 수 없습니다. 자기 몸을 닦을 것을 생각하면 어버이를 섬기지 않을 수 없습니다. 어버이를 섬길 것을 생각하면 사람을 알지 않을 수 없습니다. 사람을 알 것을 생각하면 하느님을 알지 않을 수 없습니다. 내가 중용 전체 문장 중에서 가장 위대한 명제를 담고 있는 메시지 중의 하나로 꼽는 명언이다. 결국 수신과 효에서 성론을 끌어내기 위한 다리역할을 하고 있다. 수신은 어디까지나 개인의 신독의 차원에서의 주체의 심화를 의미한다. 그러나 그것은 인간관계의 횡적 연대로 표현되어야 한다. 그 최초의 계기가 가장 가까운 혈육을 섬기는 효의 마음이며, 그 효는 외재적 권력에 대한 복종이 아니라 인간의 본연적 생명력에서 발출되는 인의 감정이다. 그러나 이 사친은 가족주의적 관계를 넘어 인간이..

카테고리 없음 2025.0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