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175 부동산 특수물건 지분 경매 배우기 강의 2018년을 벌써 정리해야할 시간이 다가오네요. 연초부터 시작했던 일들을 뒤돌아 보면서 무엇을 제일 잘했을까 생각해봅니다.올해 가장 잘한건 두가지가 있는데요. 하나는 아파트를 분양받은 것이고, 또 하나는 부동산 지분 강의를 듣고 수익을 올렸다는 겁니다. 그래서 오늘은 부동산 지분경매에 대해 이야기해 볼까하는데요.경매를 통해 부동산을 사보고 팔아보고 해봤는데요. 단타로는 수익이 많지 않아서 책도 보고 고민도 하다가 발견한 특수물건!그 중에서도 "법정지상권"과 "지분경매"가 눈에 들어오더라구요.그래서 인터넷을 통해 "더드림"을 알게 되었고 능력있고 포스 있는 Dream CEO 쌤을 만나게 되었지요. https://cafe.naver.com/playman100 강의는 4개월 16회로 구성되어 있고요. 이론과 .. 2018. 12. 7. 한국가스공사 vs 한국가스안전공사 차이점 회사에서 필요한 자격이 있어서 한국가스안전교육원에 다녀왔습니다.특별교육으로 "공기충전시설 안전관리 책임자" 교육인데 6시간 강의를 듣고 자격을 취득하게 되네요.처음 배우는 교육이라 약간 부담도 되지만 졸지 않고 열심히 듣고 꼭 나의 지식으로 만들겠다고 생각했어요. 여기서 먼저, 한국가스공사와 한국가스안전공사의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1번 : 같은 회사다.2번 : 한국가스공사 예하에 한국가스공사가 있다.3번 : 한국가스공사는 도매업, 한국가스안전공사는 규제기관이다. 답은 3번입니다. 여러분들도 궁금증이 생기시죠. 그래서 제가 두 기관에 대해 열심히 알아보았습니다. 한국가스공사(Korea Gas Corporation)는 1983년 8월 18일에 설립되었고요. 가스를 장기적으로 안정되게 공급할 수 있는 기반을 .. 2018. 12. 5. 부동산 입지분석 네가지 핵심 가치 부동산과 관련된 일들이 요즘 뉴스에 많이 등장하죠. 다주택자에게 양도세 중과세, 대출 축소, 전세자금 대출 제한 등등왜 정부는 부동산 가격을 잡을 려고 할까요. 국가에서 가지고 있는 자산중에 제일 많은 부분도 부동산인데 말이죠.대한민국의 수장인 대통령님의 공략과 주관, 정치적인 이유 등으로 잡을려고 하겠죠.(더 세부적인 이유가 있겠지만 더 이상 말은 하지 않을께요)어떤 부동산을 잡아야 하나 고민되시면 다음에서 설명한 곳을 골라 잡으면 지금이 아니어도 언제든지 가치가 있는 곳이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교통환경(일자리 지역으로 연결되는 노선인가를 가장 먼저 생각해보자) - 비싼 돈을 주고서라도 가능한 한 가까운 지역에 거주하고 싶어 한다. 그 접근성이 바로 부동산 가치, 수요가 있는 유한한 입지는 가치가 높.. 2018. 12. 2. 어린이 세계 명작 동화 추천(기린은 춤을 못 춰요) 지난번 아내랑 서울에 갔다가 엑스코 영풍문고에 들렀어요.전 부동산에 관심이 많아서 부동산 관련 서적이 있는 곳에서 30분 정도 시간을 보냈고, 아내는 인문학에 관심이 있어 인문학 서적이 많은 곳에서 시간을 보냈지요. 시간을 보내다 문득 할머니랑 놀고 있을 딸이 생각나더군요.(아내랑 간만에 데이트를 하다보니 딸 생각이 안났어요.) 그래서 어린이 서적으로 가서 딸이 좋아할 것 같은 어린이 동화책을 한권 샀어요.(솔직히 읽어보고 감동받았어요) "기린은 춤을 못 춰요"GIRAFFES CAN'T DANCE)"글 자일스 안드레아, 그림 가이파커-리스 삼성당에서 출판했네요. 작가 자일스 안드레아 소개영국의 시인이자, 유명한 캐릭터인 '퍼플 로니'와 '에드워드 몽턴'을 만든 베스트셀러 작가입니다. 현재 아동복 디자이너.. 2018. 12. 2. 오르는 부동산 법칙 조현철 매일경제신문사 [부동산 책 이야기] 최근에 읽었던 책인데요. 어떤 성과를 이루면서 딱 몇가지만 알면 된다는 말을 많이 하죠. 그래서 이 책을 보는 순간 느낌이 왔어요. 아래에 나열한 글들은 이책에서 제가 밑줄을 친 문구를 그대로 옮겼어요. 나름의 주관적인 평가보다 책에 있는 내용을 섬머리 했다고 생각하시면 되겠네요. 제가 이렇게 책을 읽고 섬머리를 하게 된 이유는 한번 읽고 나면 생각이 안나서 다시 워드로 남기고 다시 읽고 나만의 공간에 다시 올리면서 읽고 이렇게 3번정도 읽으니까 머리에 확~~~ 생각이 나네요. (머리가 좋으면 그냥 한번에 이해하고 저장할 수 있을 것을~~) 나의 손과 눈에게 미안한 생각이 드네요. 정부 정책은 비판하고 바꾸어야 할 대상이 아니라 주어진 환경에 불과하다. 주어진 환경을 이해하고 분석해.. 2018. 11. 30. 다세대, 다가구, 다중주택 나누는 기준 부동산을 공부하다 보면 아파트 다음으로 많이 듣는 주택들이 있지요.들어도 잊어버리고~~~ 들어도 잊어버리고~~~ 이런 경험 가지고 계시죠.이제부터 한번 듣고 절대 잊어버리지 않게 설명해 드릴꼐요. 단독주택, 다세대주택, 다가구주택, 다중주택, 아파트, 연립주택~~~ 왜 이렇게 다양한 주택종류가 있을까요. 당연히 관련 법규와 면적과 층이 다르기 때문이죠. 단독주택[Detached dwelling] 「건축법」에 의한 건축물 용도구분의 하나로 일반적으로 하나의 주택 안에 하나의 세대가 생활할 수 있는 구조로 된 주택을 말하죠.(한지봉 세가족이라 해도 한지붕이기 때문에 주택으로 본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ㅋㅋ) 다세대주택 [Apartment unit in a house] [주택촉진법] 한 건물내에 여러 가구가 살.. 2018. 11. 27. 이전 1 ··· 24 25 26 27 28 29 3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