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아이교육5 아이들과 읽기 좋은 책 추천 오늘은 다섯살 딸을 키우는 아빠의 마음으로 책을 추천드리려고 합니다. 태교때부터 책을 많이 읽어줘서 그런지 책을 무척 좋아하는 우리딸을 위해 양질의 책을 선별해서 선물해주곤 했었죠. 아이들마다 스타일이 다르지만 여러 분야의 책을 좋아하는 아이도 있고, 한 책만 깊이 있게 읽고 이해하고 넘어가는 아이들도 있죠. 그건 부모님들이 잘 관찰해서 아이들에게 맞는 책읽기를 해주면 될 것 같아요.(우리 아이는 한권만 일주일씩 읽고 다음 책으로 넘어가다가 이제 여러 분야의 책을 읽는거 같아요.) 우연히 인터넷에서 발견한 특이한 책! 지은이 알렉산드라 아르티모프스카는 일러스트레이터이자 그래픽 디자이너로 폴란드 바르샤바 미술대학을 졸업한 후 중국 베이징에서 보낸 시간은 그녀의 작품 세계에 영향을 주었고, 지금은 바르샤바에.. 2019. 1. 4. 우주 과학 점성술 신비 점성술점성술은 영어 단어 어스트롤로지는 별과 과학을 뜻하는 그리스어에서 비롯되었다. 바빌로니아 시대 이래 사람들은 밤하늘을 올려다보며, 하늘의 규칙적인 운동이 위대한 우주가 전하는 메시지라고 믿었다. 그래서 사제들과 철학자들은 별의 위치와 운동을 새밀하게 관측하여 그 메시지를 해석하고, 과거에 일어났던 사건과 미래에 일어날 사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이해하고자 했다. 그리하여 원래 관측천문학에서 하던 별과 행성이 사람의 개성이나 운명에 영햐을 미친다는 증거는 없다. 그래서 천문학자들은 점성술을 미신으로 보고 있다. 비록 그러할지라도 점성술이 원래 가졌던 고상한 동기를 잊어서는 안된다. 암흑기 동안 순수 과학이 모두 깊은 잠을 자고 있었을 때, 미래를 알고자 하는 열망과 점성술이 있었기 때문에 천문학이 오.. 2018. 12. 30. 우주 과학 지구 수성 지구지구는 태양계에서 생명이 살 수 있는 조건을 갖춘 단 하나의 행성이다. 액체인 물의 독특한 결합, 산소와 질소가 풍부한 대기, 역동적인 날씨는 식물과 동물이 다양하게 분포하기 위한 기초 조건이 된다. 수백만 년에 거쳐서 지형과 해양은 끊임없이 변해 왔고, 산들은 솟구치거나 침식되었으며, 대륙판이 지구 위에서 이동했다. 일부 과학자들은 이러한 조화로운 균형이 인구의 팽창으로 위협받고 있다고 본다.열대우림의 파괴와 화석연료의 연소 때문에 이산화탄소가 대기 중에 쌓이는 속도가, 식물이 이산화탄소를 재활용해서 산소로 만드는 속도보다 크다. 그 결과 이산화탄소가 대기 중에서 매우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이산화탄소는 태양열을 대기 하부증에 가두고 열이 달아나는 것을 막아, 결국 지구 온도가 올라가게 한다... 2018. 12. 27. 토성 목성 우주과학 목성이 거대하고 밝은 행성은 태양계의 가장 큰 행성이다. 그리고 목성의 위성 중에서 4개는 행성 크기이다. 목성의 구조는 지구형 행성과 다르다.목성은 주로 기체로 되어 있으며, 주성분은 수소와 헬륨이다. 구름층 하부는 압력이 너무 커서 수소가 압축되어 액체가 되어 있고, 핵으로 가면 금속성 수소가 있다. 목성은 태양에서 받은 열복사보다 더 많은 양의 열을 방출한다. 왜냐하면 목성은 1년에 몇 밀리미터의 비율로 계속 수축하고 있기 때문이다. 목성이 지금보다 몇 배 더 무거웠다면 중심핵에 있는 기체의 온도와 밀도가 충분히 높아서 핵융합반응이 일어나, 목성은 별이 되었으리라 짐작된다. 우주탐사선이 목성까지 도달하려면 몇 년이 걸리므로, 민감한 장비를 망가뜨릴 수 있는 목성의 강력한 복사대로부터 보호받도록 제작.. 2018. 12. 13. 해시계 블랙홀 은하수 에드윈 허블 은하 시계, 지도, 항법위성이 발명되기 전에는 어떤 방법으로 시간과 위치를 알았을까? 옛날 사람들은 하루의 길이가 일정하고 별이 규칙적으로 움직이는 등 자연 관측을 통해서 얻은 사실과 지구가 둥글다는 가정을 통해서 일상생활에 필요한 계산을 할 수 있었다. 고대 그리스인들은 태양이나 별의 고도를 계산함으로써 지구의 모양과 크기를 이해하기 시작했다. 그들은 이러한 방법으로 자신이 있는 장소의 위도를 알 수 있었다. 고대 그리스인들은 구 위에 좌표를 표시함으로써 자신이 지구 상에서 어디에 있는지 알 수 있었다. 또한 해시계를 사용함으로써 하루 중의 시간을 계산할 수 있었다. 지구 둘레 측정 기원전 230년경에 에라토스테네스(기원전 276?~기원전195?)가 태양을 이용해서 지구의 크기를 추정했다. 그는 시에네에서 .. 2018. 12. 8.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