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응급처치2

성인 유아 기도폐쇄 하임리히 요법 배우기 "떡이 목에 걸렸다면..."하임리히 요법(복부밀어내기)" 쓰세요."라는 제목의 뉴스를 보니 최근 3년간 기도 속 이물질 응급환자가 2018년 2,914건이었고, 작년 11월 남성이 음식을 먹다가 목에 걸려 119에 신고를 했지만 구급대원이 도착전까지 아무런 응급처치를 받지 못해 사망한 사례가 있다는 내용이었습니다. 세상에서 가장 소중한 것은 자신의 생명입니다. 그리고 가장 고귀한 행동은 죽어가는 사람을 살리는 것이 아닐까요. 의사만 사람을 살릴 수 있을까요? 뉴스나 SNS를 보면 지나가던 행인이 쓰러져 심폐소생술로 살린 이야기를 종종 접하게 됩니다. 이처럼 보통의 사람도 생명을 구할 수 있습니다. 그럼 어떻게 구할 수 있을까요. 전문적인 기술이 아닌 반복적인 연습으로 위기에 처한 사람의 생명을 살릴 수 .. 2019. 1. 16.
심폐소생술 CPR 자동심장충격기 AED 사용 자동심장충격기 AED에 대해서 알아볼께요. 만약 AED가 없다면 효과적인 심장 맛사지를 할 수 없겠죠. 효과적인 심장 맛사지가 안되면 생사의 길을 넘나들고 있는 환자에겐 치명적이겠죠. 그래서 대한민국의 지성인들은 자동심장충격기의 이론과 사용방법을 숙지하고 있어야 될것 같아요. 먼저 자동심장충격기의 이론으로, 1. 의식이 있는 상태에서 1~2초 사이에 급작스럽게 의식을 잃고 쓰러지는 형태의 심장정지 환자들의 대부분은 심장의 부정맥이 그 원인인 경우로, 부정맥이 발생하면 심근 수축이 떨리는 형태로 되면서 심장이 펌프로서의 기능을 잃게 되고, 뇌로 가는 혈액 공급이 중단되므로 의식을 잃게 됩니다.(성인에게 나타나는 이러한 형태의 부정맥은 대부분 관상동맥 질환에 의한 심근 허혈에 의해서 유발되면 대표적으로 심실.. 2019. 1. 2.
반응형